경기가 좋아지면 소비.생산. 투자가 확대되면서 자금 수요도 커져 금리가 오르고, 반대로 경기가 나빠지면 금리는 내린다. 이 또한 소비.생산.투자가 위축되어 자금 수요가 줄기 때문이다.
자금도 수요. 공급 법칙이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수요가 늘면 돈값 곧 금리가 뛰고, 수요가 줄면 금리가 내린다.
그런데 경기가 나쁜데도 금리가 오를때가 있다. 언제 그럴까?
시중 자금 수요와 공급이 경기와 무관하게 움직일 때다. 보통 때 금리는 경기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지만, 경기가 직접 금리를 올리고 내리는 것은 아니다.
금리를 올리고 내리는 직접 원인은 어디까지나 자금 수급(수요와 공급) 상황이다. 금리는 경기가 좋을 때든 나쁠 때든 돈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면 오르고, 돈 공급이 수요를 넘어서면 떨어지게 마련이다.
경기가 나쁠 때라도 자금 수요가 공급을 앞지르는 상황이 생기면 금리가 호황 때 못지않게 오를수 있다. 경기가 나쁘면 생산. 소비. 투자가 모두 침체하므로 기업 자금 수요가 적어진다. 가계도 소비를 자제하고 미래를 대비해 저축을 늘리므로 전에 비하면 금융기관에 돈이 남는다. 돈은 많은데 금융기관을 찾아 돈을 빌리는
이가 적으면 금리가 오를 이유가 없다.
문제는 기업이다. 호황 때 은행에서 돈을 잔뜩 빌려 생산 설비를 늘려놓은 기업에는 다른 논리가 적용된다.
투자와 생산 규모를 한껏 늘려 놓았는데 미처 투자를 회수하지 못하거나 생산 규모를 줄이지 못한 상태에서
불황이 닥치면 어쩌나? 당장 은행에 깊을 돈, 사업 유지에 필요한 운전 자금이 부족해져 자금난을 겪기 쉽다.
자금난을 겪는 기업이 많으면 불황 때라도 금리가 오른다.
한 사례로 외환위기라는 불황을 만났을 때도 금리가 드라마틱하게 격동했다. 당시 국내 기업들은 규모가 크든 작든 대개 빛을 많이 진 상태에서 갑작스런 불황을 맞았다. 당장 만기가 돌아오는 단기부채를 갚느라, 운전 자금을 구하느라 애먹는 곳이 많았다. 빚을 갚지 못하고 쓰러지는 기업이 많았고, 기업대출을 떼이는 금융기관도 많았다. 나중에는 금융기관마저 대출 여력이 없어져 금융이 마비될 만큼 자금시장이 극심한 난국에 빠졌다.
'재무, 회계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정보의 특성 (0) | 2023.07.18 |
---|---|
재무보고는 왜 하나?? (1) | 2023.07.18 |
가치투자의 산실 공시시스템 - 2 (0) | 2023.07.17 |
가치투자의 산실 공시시스템 - 1 (0) | 2023.07.17 |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재무제표의 원리 1 (0) | 2023.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