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무, 회계 활용28 경기 나쁜데도 금리 오를 때는 언제? 경기가 좋아지면 소비.생산. 투자가 확대되면서 자금 수요도 커져 금리가 오르고, 반대로 경기가 나빠지면 금리는 내린다. 이 또한 소비.생산.투자가 위축되어 자금 수요가 줄기 때문이다. 자금도 수요. 공급 법칙이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수요가 늘면 돈값 곧 금리가 뛰고, 수요가 줄면 금리가 내린다. 그런데 경기가 나쁜데도 금리가 오를때가 있다. 언제 그럴까? 시중 자금 수요와 공급이 경기와 무관하게 움직일 때다. 보통 때 금리는 경기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지만, 경기가 직접 금리를 올리고 내리는 것은 아니다. 금리를 올리고 내리는 직접 원인은 어디까지나 자금 수급(수요와 공급) 상황이다. 금리는 경기가 좋을 때든 나쁠 때든 돈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면 오르고, 돈 공급이 수요를 넘어서면 떨어지게 마련이다.. 2023. 7. 17. 가치투자의 산실 공시시스템 - 2 # 사업보고서를 통한 연간 실적 확인 사업보고서의 공시 기한은 결산후 90일 이내입니다. 법적으로 정해진 기준입니다. 9월 결산 법인이나 3월 결산법인과 같이 독특한 결산기를 가진 법인도 있지만 우리나라는 대부분 12월 결산 법인입니다. 12월 31일이 마지막 날이니 보통 이듬해 4월달에 직전년도에 장사를 얼마나 잘했는지 회사의 영업 내용과 재무제표를 작성하고 외부감사를 받아서 공시를 하게됩니다. 아래 사업보고서를 통해 확인해야 하는 사항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해보겠습니다. ㅇ 사업의 내용 회사마다 업종마다 조금씩 기술하는 내용이 다르기는 합니다. 그리고 내용이 아주 디테일한 회사가 있는가 하면 덜 디테일한 회사도 있습니다. 먼저, 통상적으로 회사가 어떤 사업을 영위하는지 기술돼 있습니다. 그리고 회사가 .. 2023. 7. 17. 가치투자의 산실 공시시스템 - 1 # 전자공시시스템이란? 국가경제의 핵심인프라인 자본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투자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제공함으로써 기업에게는 양질의 자금조달 기회를, 투자자에게는 다양한 투자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금융감독원은 2001년 1월부터 인터넷을 통하여 상장법인 등이 제출한 재무상태 및 주요 경영정보 등 각종 공시자료를 이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조회할 수 있는 전자공시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코스피시장이나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주식회사부터 비상장 기업까지 다양한 회사들이 경영상태에 대한 공시를 하고 있다. 시스템으로 인해 투자자나 채권자들은 기업에 관한 정보를 얻을 때 일부러 기업에 연락하지 않고도 손쉽게 기업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더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게 되는 편익이 있.. 2023. 7. 17.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재무제표의 원리 1 # 재무제표 투자자가 알아야 할 기업의 재무제표란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의 세 가지를 말한다. 한국의 기업회계 기준은 이 세 가지에 덧붙여 이익잉여금저분계산서(혹은 결손금처리계산서), 주기와 주석 등 모두 다섯 가지를 재무제표로 규정하고 있다. 투자자는 이 세 가지를 작성하는 방법까지 익힐 필요는 없다. 그렇지만 재무제표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재무제표는 여러 단계를 거쳐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재무회계에서 말하는 거래란 "재화나 용역의 변동을 발생시키는 사건"이다. 다시 말해 회계에서 거래가 성립되려면 반드시 물건이나 돈이 움직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회계에서의 거래가 아니다. 수학자이던 루카 파치올리 (Luca Pacioli) 1494년 베니스 .. 2023. 7. 17. 이전 1 ··· 4 5 6 7 다음 반응형